본문 바로가기
신생아돌보기

동맥관개존증 | 신생아 심장 구멍 | PDA : Patent Ductus Arteriosus

by 이으미 2022. 6. 17.
반응형

동맥관개존증 (PDA)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동맥관이란 대동맥과 폐동맥을 연결하는 통로로 엄마 배 속에 있는 태아가 태아 혈액순환을 할 때 필요한 것입니다. 아기가 태어나면서 이 동맥관이 혈액 순환하는데 필요가 없어지면서 자연스럽게 닫히게 됩니다. 출생 후 2주 정도에 동맥관이 막히는 것이 보통 정상이며, 계속 열려있는 경우를 동맥관 개존증 (PDA, Patent Ductus Arteriosus)이라고 합니다. 

 

PDA
동맥관개존증

 

동맥관개존증

이른둥이, 미숙아의 경우 동맥관 개존증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특히 초 미숙아에서 흔히 나타나는 문제로, 1740미만의 이른둥이의 45% 정도 가량 나타나고, 1kg 미만의 이른둥이에게서는 80% 정도 가량 발생합니다.

 

엄마는 태아에게 태반을 통해 자궁 안까지 산소를 공급합니다. 태아들의 혈액순환에는 성인과 다른 특징이 있습니다. 태아는 혈액이 산소를 공급받기 위해 폐로 이동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태아의 혈액은 폐를 거치지 않고 동맥관이라는 혈관을 따라 이동합니다. 그러나 출생 후에는 동맥관이 닫혀서 혈액이 폐로 흘러들어가 산소를 공급받고, 몸 전체로 순환됩니다. 미숙아의 동맥관은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혈액이 폐를 우회하여 산소를 공급받지 못한 채 순환을 하게 되는데, 이를 동맥관 개존증이라고 정의합니다. 

 

동맥관 개존증이 있는 아기들은 출생 초기에 다른 아기들보다 산소가 더욱 필요합니다. 출생 초기에 동맥관 개존증은 심장과 폐 기능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는 않만 이것이 몇 주 정도 지속된다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동맥관을 따라 계속 혈액 흐름이 있으면 심장이 약해져 울혈성 심부전, 폐수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생기고 심장 및 폐에 부담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

 

동맥관 개존증의 중증도는 동맥관의 크기과 동맥관을 통해 흐르는 혈액의 양에 따라 다릅니다. 경미한 동맥관 개존증의 정도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동맥관이 저절로 닫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한 동맥관 개존증의 경우, 동맥관이 계속 열린 상태로 유지되면서 심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전에 전문가의 치료와 중재가 필요합니다.

 

동맥관 개존증의 진단 및 치료

동맥관 개존증이 가벼운 경우에는 거의 무증상입니다. 별다른 증상은 없는데, 청진 시 심잡음(murmur)이 청진되어 발견되기도 합니다. 동맥관 개존의 정도가 클 경우에는 심부전과 성장 지연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전형적인 진찰 소견은 넓은 맥압 및 도약맥, 좌측 흉골 연상부에서의 지속적인 심잡음 청진 등이 있습니다.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의 이상 혈류 순환인 단락(shunt)가 많을 경우, 흉부 x-ray 선에서 상행 대동맥, 폐동맥, 좌심방 및 좌심실이 커져있으며 폐혈관 음영이 증가되어있습니다. 심전도에서도 좌심방과 좌심실 비대를 보입니다. 

심장 초음파 검사로 동맥관을 확인할 수 있어 심장 초음파 검사로 좌심방 및 좌심실 확장 소견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도플러(Doppler) 검사를 통해 동맥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심도자 검사로 폐동맥에서 좌우 단락을 확인하고 상행 대동맥 조영술로 동맥관 음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약물요법으로 조절되지 않는 동맥관 개존의 경우, 동맥관 폐쇄를 위해 심도자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동맥관이 자연스럽게 닫히지 않고 동맥관 개존증이 지속되는 아기에게 치료가 필요합니다. 동맥관 개존증 요법으로는 수분제한, 이뇨제 투약, 호흡 관리, 심부전 시 강심제(inotropic) 사용 등이 있습니다. hematocrit 수치는 40~45% 내로 유지합니다.  약물요법으로 ibuprofen을 사용할 수 있는데, ibuprofen 약물의 부작용으로 혈변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약물을 투여하는 기간 동안은 약 3일 정도 금식을 해야 합니다. 의료진 아기가 투여기간 약 3일 동안 금식을 하면서 혈변을 보는지 관찰합니다.  동맥관의 크기가 크고 심할 경우에는 외과적 요법으로 수술을 통해 동맥관을 닫기도 합니다. 

 

동맥관 개존증의 예후

동맥관 개존증이 있는 아기는 폐 혈류량의 증가로 인해 폐울혈 및 폐부종이 올 수 있습니다. 폐울혈과 폐부종이 있으면 호흡곤란이 악화되어 폐출혈 가능성이 생기고 울혈성 심부전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행 대동맥으로 가는 혈류도 증가하는데, 이로 인해 뇌실 내 출혈의 위험이 있습니다. 한편 하행대동맥으로 가는 혈류는 감소하여 위장관, 신장 등으로 가는 혈액량이 감소합니다. 이처럼 하부 장기의 관류 저하로 대사성 산증, 소변량 감소, 신부전 및 괴사성 장염 등이 초래될 위험이 높습니다. 

반응형

댓글